옛 문헌속의 낙지에 대한 평가
‘살이 희고 맛은 달콤하고 좋으며, 회와 국 및 포를 만들기에 좋다. 이것을 먹으면 사람의 원기를 돋운다.’
‘영양부족으로 일어나지 못하는 소에게 낙지를 서너마리만 먹이면 거뜬히 일어난다.’
-자산어보
‘낙지는 성(性)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동의보감
낙지는 의학 고전인 ‘동의보감’이나 우리나라 어류 백과사전인 ‘자산어보’에도 자세히 소개될 정도로 한국에서는 친숙한 식재료입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삼국 사기 신라본기에도 문무왕 23년 8월 21일조에 "왕이 낙지를 잡아 궁중에 바쳤다."라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입니다.
낙지의 명성
낙지는 장어와 더불어 자양강장의 상징처럼 인식되어 있어서 원기가 부족한 사람들이 즐겨 찾기도 합니다.
바닷가 어민들 사이에서 ‘뻘 속의 산삼’이라고 부를 정도로 영양가가 높은데 특히 가을과 초겨울의 낙지는 그 맛과 영양이 가장 최상이라서 보약이 따로 없다고 일컬어질 정도입니다.
낙지의 효능
낙지에는 단백질과 비타민 B2, 칼슘, 인 등 무기질이 풍부하며 타우린 성분이 많습니다. 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은 콜레스테롤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어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을 억제하고 간의 해독 작용을 도와 피로 회복에 더할나위없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낙지에는 DHA와 EP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DHA와 EPA는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두 성분은 두뇌 세포를 보호하고, 두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낙지에 대한 에피소드
세계 3대 영화제인 칸 영화제에서 수상을 한 ‘올드 보이’에서 주인공이 낙지를 생채로 한입에 입속에 털어넣는 것을 보고 해외에서는 마치 호러물을 본 것같은 충격을 먹었다고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저 먹성이 좋다고 생각할정도로 낙지를 산채로 회로 먹는 것은 우리에게 익숙한 일입니다.
낙지의 분포와 끝맺음
얕은 바다의 돌 틈이나 진흙 속에 숨어서 살며 한국·중국·일본의 연해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전라남북도 해안에서 많이 잡히고 있습니다.
회뿐만이 아니라 볶음, 찌개, 죽, 찜등 여러 요리에 두루 어울리기에 시대를 떠나서 현대에서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알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의 기능과 위엄 (0) | 2023.06.22 |
---|---|
토마토의 기원과 유래, 그 효능에 관해서 (0) | 2023.06.21 |
차의 종류와 그 효능에 대해서 (0) | 2023.06.18 |
충분한 수면의 중요성과 그 방법 (0) | 2023.06.17 |
궁합이 잘 맞는 음식의 효능과 종류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