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

구황작물의 정의와 그 종류 구황 작물의 정의 구황 작물은 따로 비황작물이라고도 하며 흉년과 기근으로 인한 굶주림을 면하기 위해 주식물 대신 먹을 수 있는 농작물을 의미합니다. 이런 구황작물의 특징으로는 위에 주지한대로 흉년에도 버틸 수 있어야 하기에 가뭄이나 장마같은 재해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랍니다. 또한 보통 저온에 잘 견디고 자라나는 기간이 짧아 농사가 힘든 북방지방에서 특히나 사랑을 받았습니다. 구황 작물이 중요했던 이유 근현대에 이르러서 여러 농작법, 농기계의 급속한 발전, 품종 개량등으로 인해 수많은 나라에서 기근이나 굶주림같은 인재는 벌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20세기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지배층의 수탈과 철저히 날씨에만 의존하는 농사법등으로 인해 기아로 수만, 수십만의 사람들이 죽는 일.. 2023. 6. 26.
한국의 슈퍼푸드, 김치에 대하여 김치의 연원 김치의 연원은 지금부터 천년도 훨씬 넘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하지만 당시의 김치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김치처럼 고춧가루에 버물린 형태는 아니였습니다. 우리나라 김치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지(三國志) 위지 동이전 고구려조에서 확인됩니다. 당시의 기록에 따르면 “고구려인은 채소를 먹고, 멀리서 소금을 날라다 이용하였으며, 초목(草木)이 중국과 비슷하여 술을 빚거나 젓갈을 담그는 데 능하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당시는 젓갈처럼 소금으로 간을 쳐서 오랫동안 보관을 할 수 있는 발효식품이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김치의 발전 고려시대에는 국교로서 도교와 불교가 숭배되어 육식을 절제하고 채소를 선호하게 되어 배추의 종류가 상당히 다양해지게 됩니다. 고려사 예지(禮志)에 제사(祭祀) .. 2023. 6. 24.
채식주의는 왜 생겨났을까? 채식주의자란? 채식주의자라 함은 쉽게 동물성 음식을 피하고 식물성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그러나 그 뒤에 있는 함의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채식주의자들은 개인적인 음식 기호또한 있지만 기본적으로 동물의 권리를 존중하고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 운동의 연장선상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현대에는 채식주의자는 곧 비건과 같은 동일선상에 있는 것처럼 받아들여지지만 엄격한 의미에서 비건은 동물성 제품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채식주의자입니다. 유제품과 계란, 생선등을 섭취하는 좀 더 완화된 채식주의자들도 물론 있습니다. 채식주의는 왜 생겨났을까? 과거에 누군가가 스스로를 채식주의자라고 하면 무슨 스님이냐며 놀림을 당했지만 지금 세상에는 다종 다양하고 세분화된 개성과 가치관들이 존재하고 또 각자 존중을.. 2023. 6. 23.
커피의 기능과 위엄 커피의 위엄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인기가 좋은 음료는 단연 커피임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1년에 세계적으로 약 6천억 잔이 소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음료는 커피 나무 열매의 씨를 볶아서 가루로 낸 것을 뜨거운 물과 찬 물기로 우려내어 마십니다. 이 쓴맛이 나는 짙은 갈색의 음료가 전세계를 사로잡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특히 구한말 고종 황제가 커피를 즐겨마셨고 손탁호텔에 처음 커피하우스가 생긴 이래로 한국에서는 그 어떤 나라보다도 인구대비 커피 매장수가 가장 많은 나라가 되었습니다. 커피는 단순히 음료가 아니라 문화현상이며 사교의 장이기도 합니다. 커피의 기원 커피의 기원은 에티오피아로 추정됩니다. 에티오피아의 목동들은 커피 열매를 먹은 양들이 밤새도록 뛰어다니는 것을 보고 커피의 각.. 2023.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