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밤 생활정보

채식주의는 왜 생겨났을까?

by goodlife101 2023. 6. 23.

채식주의자란?

채식주의자라 함은 쉽게 동물성 음식을 피하고 식물성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그러나 그 뒤에 있는 함의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채식주의자들은 개인적인 음식 기호또한 있지만 기본적으로 동물의 권리를 존중하고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 운동의 연장선상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현대에는 채식주의자는 곧 비건과 같은 동일선상에 있는 것처럼 받아들여지지만 엄격한 의미에서 비건은 동물성 제품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채식주의자입니다. 유제품과 계란, 생선등을 섭취하는 좀 더 완화된 채식주의자들도 물론 있습니다.

 

 

 

채식주의는 왜 생겨났을까?

과거에 누군가가 스스로를 채식주의자라고 하면 무슨 스님이냐며 놀림을 당했지만 지금 세상에는 다종 다양하고 세분화된 개성과 가치관들이 존재하고 또 각자 존중을 받기에 채식주의자에 대한 인식도 과거와는 매우 달라졌습니다.

과거 육류를 마음껏 섭취하지 못하던 시절에는 육식이 일종의 부와 건강의 상징이었으나 현대 선진국들에서는 넘쳐나는 식량재고와 과도한 육류 섭취로 인하여 비만이 크게 문제가 되었고 이와 더불어 소, 돼지등의 가축을 기를때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건강과 지구 환경을 위하여 자연스레 채식주의가 대두되었고 이를 개인의 실천을 넘어서 사회 운동으로까지 연결시키게 되었습니다.

그에 더하여 동물에게도 사육되지 않을 권리, 고통스럽게 도축되지 않을 권리등이 있다는 주장이 점차 힘을 얻게 되어 채식주의는 급속도로 유행처럼 번져나갔습니다.

 

 

채식주의의 명암

토지 황폐화와 용수의 고갈화 뿐 아니라 온난화 효과가 이산화탄소의 56~86배에 이르는 메탄의 30~37%는 축산업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지구 환경을 위해서라도 도축을 위한 소와 양, 돼지들의 사육은 점차 줄여나가야 되는 것이 맞습니다. 게다가 현대인의 가장 큰 문제인 콜레스테롤, 지방등을 줄이기 위해서도 채식주의가 권장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육류에도 필수 불가결한 영양 요소가 있기에 이를 외면하고 채식주의만을 고집한다면 영양 불균형등으로 인해 건강 균형이 깨질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과격한 채식주의자들이 육식에 대하여 몰아적인 비판과 사업장등을 집단으로 찾아가 영업을 방해하는 등의 부정적인 기류또한 나타나고 있습니다.

 

마치며

무슨 일에든 극단으로 치우치면 위험한 일입니다.

동물의 복지나 환경 오염을 위해서 채식주의를 선택한 것이라면 최근 대체육이나 세포배양육등이 속속 상업화에 성공하면서 조만간 이 문제에서 자유롭게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채식주의를 주장하는 것은 마땅히 존중받아야 하며 이 반대의 경우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육식을 하는 사람들을 마치 야만적으로 매도하는 것인 건강한 채식주의 전파에 있어서 결코 이롭지 못함을 상기하며 건강한 식습관을 각자 지켜나가는 것이 좋겠습니다.